언리얼 게임 프레임웍 게임 콘텐츠의 구조 게임 제작을 위해 언리얼 엔진은 자체적으로 설계한 프레임웍을 제공함 이를 게임 플레이 프레임웍(Gameplay Framework)이라고 부름 언리얼 게임 프레임웍의 각 구성 요소를 파악하고, 이를 확장하면서 게임을 제작하는 것을 권장 1강 예제 게임 콘텐츠의 구성 🔗이번 강의 준비물 이번 강의의 프로젝트는 아래 사진의 파란색 프레임웍 기능들을 사용함 월드(World) 게임 콘텐츠를 담기 위해 제공되는 가상의 공간 월드는 시간, 트랜스폼, 틱을 서비스로 제공한다 월드 세팅이라는 콘텐츠 제작을 위한 기본 환경 설정을 제공한다 월드의 기본 단위는 액터(Actor)로 정의되며, 액터 클래스는 언제나 접두사 A를 사용한다[!note] 월드의 역할 게임 콘텐츠를 담는 공간 ..
✌️개요 서버에서 받은 이미지 리소스를 사용하는 경우 자주 사용하는 이미지라면 계속 메모리에 있어도 되겠지만 갈 수도있고 안갈 수도있는 메뉴에서 사용하는 이미지라면 사용 후에 메모리에서 내려가게 해주는게 아무래도 좋음 메모리에서 내리기위해 시도하다가 알아낸 방법을 기록 🔥본문 코드로 해야할 일 우선 결론적으로 이것저것 시도해보니 Destroy(Texture에셋)으로 메모리에서 내려가게 만드는게 가능 Resources.UnloadUnusedAssets도 검색하면 가장 많이나오긴했는데, 또 포럼답변으로는 Destroy()함수로 하라는 말이 있어서 나는 Destroy()로 함 서버에서 Texture를 받는경우 UnityWebRequestTexture.GetTexture(URL)로 받을것이고 Texture2D타..
⚙️언리얼 에디터 프로젝트 구성 언리얼 에디터 구성 게임 제작을 위해 에픽 게임즈가 제공하는 저작 도구 ==언리얼 엔진의 구성== 에디터 ⇒ 게임 제작을 위해 제공되는 응용 프로그램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언리얼 엔진) 게임 빌드 ⇒ EXE 파일과 리소스로 이루어진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게임 클라이언트 ==언리얼 에디터의 특징== 게임 개발 작업을 위해 다양한 폴더와 파일 이름 규칙이 미리 설정되어 있다. 정해진 규칙을 잘 파악하고 프로젝트 폴더와 파일을 설정해야 함. 에디터에서 기획과 개발을 완료한 후, 게임 빌드를 통해 최종 게임 빌드를 제작하도록 설정 언리얼 에디터의 동작 프로젝트 폴더의 uproject확장자를 더블클릭하면 에디터가 트리거 됨. 에디터의 실행 방식 uproject확장자는 윈도우 레지스트..
📦패키지 언리얼 오브젝트 패키지 단일 언리얼 오브젝트가 가진 정보는 저장할 수 있지만, 오브젝트들이 조합되어 있다면? 저장된 언리얼 오브젝트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찾고 관리하는 방법은? 복잡한 계층 구조를 가진 언리얼 오브젝트를 효과적으로 저장과 불러들이는 방법을 통일해야함 언리얼 엔진은 이를 위해 패키지(UPackage)단위로 언리얼 오브젝트를 관리함. 패키지의 중의적 개념 언리얼 엔진은 다양한 곳에서 단어 "패키지" 를 사용하고 있음 언리얼 오브젝트를 감싼 포장 오브젝트를 의미함. (이번 강의의 주제) 또한 개발된 최종 컨텐츠를 정리해 프로그램으로 만드는 작업을 의미함 → 예) 게임 패키징 DLC와 같이 향후 확장 컨텐츠에 사용되는 별도의 데이터 묶음을 의미하기도 함 → 예) pkg파일 구분을 위해 언..
언리얼 엔진의 직렬화 직렬화(Serialization)란? 오브젝트나 연결된 오브젝트의 묶음(오브젝트 그래프)을 바이트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과정 복잡한 데이터를 일렬로 세우기 때문에 직렬화 거꾸로 복구시키는 과정도 포함해서 의미 Serialization : {오브젝트 그래프 → 바이트 스트림}으로 Deserialization : {바이트 스트림 → 오브젝트 그래프}로 직렬화가 가지는 장점 현재 프로그램의 상태를 저장하고 필요한 때 복원할 수 있다. (게임의 저장) 현재 객체의 정보를 클립보드에 복사해서 다른 프로그램에 전송할 수 있다. 네트워크를 통해 현재 프로그램의 상태를 다른 컴퓨터에 복원할 수 있다. (멀티플레이어 게임) 데이터 압축, 암호화를 통해 데이터를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보관할 수도 있음. ..
✌️개요 옵시디언을 잘 사용하고있는데 여러 플러그인과 테마를 쓰면 보기에도 참 좋다. 코드블록이라던가... 콜아웃이라던가... 옵시디언에서 글을 작성하고 그대로 티스토리에 올리기도 하는데 당연히 저런건 티스토리로 넘어오면 이상하게 보인다. 그래서 블로그 자체를 옮기는건 빡쎄더라도 옵시디언 모습 그대로 호스팅할 수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생각하다가 좋은 방법을 찾아서 메모한다. 🔥본문 📌옵시디언 Export 우선 옵시디언에서 html로 export하기 위해 플러그인을 설치해야한다. https://github.com/KosmosisDire/obsidian-webpage-export 이 플러그인인데 옵시디언에서 커뮤니티 플러그인에서 설치하면 된다. 하지만 지금 1.7.3 릴리즈 버전에 버그가 있어서 나는 ..